우리 삶이 재미없는 이유는 선택의 자유를 박탈당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자들은 모이면 군대 이야기를 한다. 남자들은 군대에서 자유를 박탈당했기 때문이다. 이 선택의 자유를 박탈당한 트라우마를 긍정적으로 미화시키든 어떻게든 해결하기 위해서 이다. 자꾸 반복적으로 한 이야기를 하고 또 하는 이유는 뭔가 심리적으로 막혀 있기 때문이다. 남자들이 군대이야기와 여자들의 시댁이야기와 같은 맥락이다.
선택의 사유는 인간의 존재의 근거다. 내 삶의 의미는 내가 선택했는가. 아닌가에 의해 결정된다. 심리학에서 이 선택의 자유와 아주 비슷하게 쓰이는 개념이 있다. 내적 동기다. 재미나 즐거움과 같은 내면의 욕구를 한다. 요즘은 내적 동기 전성시대다. 자신이 진짜 원하는 일을 선택해서 하라고 곳곳에서 부주긴다. 유사해 보이는 내적동기와 선택의 자유는 사실 서로 다른 개념이다. 이 두 개념이 상충하는 경우도 많다.
돈이나 성적 같은 외적 동기에 의해 음직이지만 이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부여된 경우다. 이렇게 내적 동기와 선택의 자유가 서로 충돌할 때 어느 요인이 더 감력할까? 심리학자들은 선택의 자유 폭에 손을 들어준다. 비록 외적 동기에 의한 행동이지만 스스로 택했을 경우 그 행동의 몰임도가 순수한 내적 동기에 의한 행동의 몰입도 보다 더 높다는 것이다. 순서는 선택의 자유가 먼저고 그 다음이 내적동기다. 재미있어서 선택하는게 아니라 선택하면 재미있어진다. 아무리 재미었는 행동은 내가 선택하면 재미있어진다. 선택의 자유를 박탈당한 이들에게 나타나는 심리현상은 좌절이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상황에 오랜 기간 처하면 누구나 이병에 걸린다. 바로 셀리그만의 학습된 무기력이다. 무기력도 학습된다는 것이다. 한국 남자라면 누구나 약한 정도의 신경증과 획습된 무기력에 사로잡혀있다. 어려서부터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한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어서는 더 하다. 집안 문제든 사회문제든 도무지 내가 어떤 결정에 주체적으로 관여해본 경험이 없다. 어떻게 밀려 살아와보니 여기 까지 온 것이다. 이제라도 뭐든 스스로 결정하며 살자는 거다. 내 삶을 주제적으로 사는 일에 제발 쫄지말자는 이야기이다.
마르크스 심리학에서 행동을 하기 전에 목표를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이라는 이야기다. 행동과 행위를 구별한다. 반사적 혹은 본능에 따른 움직임은 행동이고 목적이 전제된 움직임은 행위이다. 목적과 상상력 이 두가지가 인간 행위의 본질이다.
목적을 떠올리고 그 목적을 향한 행위를 가능게하는 그 힘의 실체는 모티베이션이라는 개념이다. 그러나 모티베이션은 미국식개념이다. 심리칙에서는 조작적 정의라고 한다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모티베이션 혹은 동기로 번역되는 한국식 조작적 정의는 설렘이다.
가슴이 뛰고 자꾸 생각나고 목표가 이뤄지는 순간이 기대하는 그 느낌을 설렘이라고 한다. 설렘이 있어야 상상 속의 목표가 구체화되고 현실화 된다. 설렘이 있어야 목표를 이뤄나가는 과정에서의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행복과 재미의 구체적 내용도 설렘이다. 설레는 일이 있어야 삶이 행복하고 재미있다는 이야기다.
우리는 행복하려고 산다. 재미있으려고 산다. 한국 사회에는 행복과 재미를 이야기하면 한급 아래로 본자. 자유 민주. 평등과 같은 가치를 이야기하면 폼 나보인다. 그러나 자유 민주 평등은 수단적 가치다. 행복과 재미는 궁극적 가치다. 물론 수단적 가치가 확보되어야 궁극적 가치를 얻어낼 수 있다.
그러나 자유, 평등, 민주라는 조건이 이뤄진다고 자동적으로 사는게 행복하고 재미있어지는 것이 아니다. 재미와 행복이라는 궁극적 가치에 대한 진지하고 꾸준한 성찰이 있어야 수단적 가치도 이뤄낼 수 있다는 이야기다. 행복과 재미에 관한 어떤 사회문화적 담권이 존재하지않는 이 사회에는 감각격이고 말초적 재미만 남아 있다. 설램이 있어야 한다.
추상적이고 거창한 구호로 삶이 행복해지고 재미있어지는 것이 아니다. 어떤 위대한 가치나 이데올로기도 내 삶에 구체적으로 경험되지 않으면 실천되지 않는다. 결정적인 순간에 지식인이 비겁해지는 이유는 바로 이 구체성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삶의 구체적 경험이 우리를 설레게 만들고 변화의 동력이 된다는 이야기다.
삶이 재미없는 이유들은 대부분 세상이 뒤집어지는 어마어마한 재미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다. 그런 재미는 없다 행복을 거창하게 생각해서는 설대 행복해 질수 없다. 내가 좋아하는게 분명해야 설레는 삶을 살수 있다. 내가 가슴 설레며 기다렸던 일을 하면된다. 그런 일들을 끊임없이 계획하여 살면된다. 설렘이 없다면 살아 있는게 아니다.
프로이트는 민류의 가장 오래된 갈등인 부자 문제를 아주 회한한 방식으로 풀어낸다. 오이디푸스 콤플엑스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여자인 어머니를 사랑한다. 그러나 힘센 아버지를 당할 재간이 없다. 아들의 선택은 둘 중하나다. 아버지 밑에에서 죽은 듯 지내든가 아니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를 차지하든가다.
아버지는 기존 질서에 대한 상징이다. 아들이 새로운 세상의 주인이 되려면 기존 질서를 부정해야 한다. 아버지를 죽이는 상징적 삶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그리 만만한 대상이 아니다. 아들은 아버지가 자신의 성기를 제거할지도 모든다는 거세불안에 시달린다. 두려운 아들은 아버지의 가치와 도덕을 그대로 승계한다.
아버지의 세계를 이어 받지만 아들을 위한 새로운 세상은 없다. 자신의 세계를 열어가려면 아들은 어떤 방식이든 아버지를 치받아야 한다. 문명사적 딜레아다. 그래서 역사의 위대한 인물은 대부분 아버지가 없다. 그래서 아버지의 세계를 이어받지 않아도 되고, 기존 질서를 부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아버지가 있다면 어떻게든 어떤 식으로 갈등해야 한다.
자기 열등감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누구나 약점은 있다. 그런 약점이 있다면 너를 바꾸라고 한다. 너를 바꾸라는 문화사적 압력은 우연이 아니다. 130년 된 현대 심리학의 역사는 "모든 문제의 원인은 너 자신"이라는 명제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심리학은 근대성의 총아(특별한 사람을 만나는 뜻)로 나타난 학문이다.
근대성이란 '주체적 자아의 형성을 뜻한다. 계급. 인종. 지위를 떠난 독립된 주제로서의 책임과 행위의 가능성에 관한 사회적 담론이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나타난 시가 서구의 근대이다. 이 주체적 자아를 설명하기 위한 학문이 바로 심리학이다.
근대 심리학은 "주체적 자아의 이데올로기'를 벗어나는 모든 것을 이상(abnormality, disoder)하다고 진단한다 정상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근대 심리학이 나타내기 전까지 정상과 이상의 구분은 그리 분명한게 아니었다.
'리니지(Line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의 물건 서평 - 나이가 들 수록 시간이 빨리 가는 이유와 남자의 질투 (0) | 2022.12.30 |
---|---|
남자의 물건 서평 - 정상과 이상의 차이, (0) | 2022.12.29 |
40대 아재, 1인 기업 창업하기 (1) | 2022.12.24 |
40대 아재의 독서 - 언어의 줄다리기(신지영 저) (0) | 2022.12.23 |
40대 아재의 독서 - 유투브의 신 (0) | 2022.12.23 |